도르래에 걸친 줄의 한쪽 끝에 바나나가 매달려 있고 반대편에는 원숭이가 매달려 있다. 원숭이와 바나나의 무게가 같아 처음에는 둘 다 정지한 상태다. 만약 원숭이가 줄을 당겨 위로 올라가려는 시도를 한다면 (어떻게?: 고정된 줄을 타고 위로 올라가려 할 때 사람은 자신의 몸무게보다 더 큰 힘으로 줄을 아래로 당기면 그 반작용으로 위로 올라가는 것처럼) 원숭이의 위치는 (지상 기준) 어떻게 변할까?

그런데 이 상황은 줄의 끝(바나나 쪽)이 고정된 상황이 아니다.

예상 답: 

1. 원숭이는 위로 올라간다

2. 원숭이는 제자리에 머문다.

3. 원숭이는 아래로 내려간다. 

 

1번 선택 이유: 원숭이가 위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몸무게보다 더 큰 힘으로 줄을 아래로 당겨야 한다. 그 반작용으로 원숭이는 위를 향하는 가속도를 얻는다. 바나나도 같은 크기의 힘을 위쪽으로 받으므로 동일한 가속도로 위로 올라간다.

 

1번 선택하지 않는 이유: 줄의 끝이 고정이 되었으면 자신의 몸무게보다 더 큰 힘으로 줄을 당길 수 있지만 줄의 끝이 고정이 안되어 있으면 자신의 몸무게 이상의 힘을 주면 줄이 아래로 내려가므로 그 반작용을 받을 수 없다(자신의 몸무게만큼만 주면 반대편에서 같은 무게의 바나나 때문에 줄은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

 

2번 선택 이유: 1번을 선택하지 않는 이유처럼 자신의 몸무게 이상의 힘을 줄 수 없을 것이므로 정지할 수밖에 없다.

 

2번 선택하지 않는 이유: 줄을 당기면 반대편 바나나는 위로 오르게 된다. 원숭이는 제자리에 가만히 있고 바나나만 제자리에 있으면 각운동량 보존 법칙에 위배된다. 도르래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원숭이의 무게와 바나나의 무게는 반대방향의 토크를 만들므로 전체 토크는 없다. 따라서 각운동량은 보존되어야 하므로 바나나만 따로 움직일 수 없다. 바나나가 위로 올라가면 원숭이도 위로 올라가야 각운동량이 보존된다.

 

3번 선택 이유: 원숭이가 줄을 아래로 당기면 바나나가 위로 가속을 할 것이고 따라서 원숭이가 잡고 있는 부분은 아래로 내려갈 수밖에 없다.

 

3번 선택하지 않는 이유: 원숭이가 아래로 떨어지기 위해서는 자신의 무게보다 더 큰 힘이 아래로 작용해야 한다(자신의 무게는 바나나의 무게와 상쇄된다). 그런데 자신은 위로 당기므로 결코 아래로 향하는 힘은 자신의 무게 이상의 힘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다음 상황과 비교해 보자: A가 줄을 당기면 A는 앞으로 갈까 그 자리에 있을까 아니면 뒤로 갈까?

728x90

'Physics >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르래를 이용해서 올라가기  (0) 2016.01.31
선풍기와 돛단배  (0) 2016.01.30
저울의 눈금은?  (1) 2016.01.28
관성의 법칙 실험  (0) 2016.01.28
어느 쪽이 더 빨리 내려가는가?  (0) 2016.01.26
Posted by helloktk
,

빠르게 달리다가 돌부리에 걸리면 넘어진다. 그러나 속력이 작으면 잘 넘어지지 않는다. 턱에 걸려 넘어지기 위해서는 얼마나 빨리 달려야 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서 간단한 물리적인 상황을 만들자. 정육면체 모양의 물체가 매끄러운 바닥을 일정한 속도로 달리다가 작은 턱에 걸릴 때 넘어질 조건을 보면

  1. 탄성충돌 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충돌 전후의 운동에너지 보존을 보장할 수 없다.
  2. 턱이 외력을 주므로 물체의 운동량도 보존이 안된다.
  3. 물체가 넘어질 때 턱을 기준으로 회전을 하므로 이 지점을 회전축으로 할 때 턱이 육면체에 주는 힘은 토크를 만들지 않는다.

따라서 충돌 직전-직후의 턱을 회전축으로 하는 각운동량은 보존이 된다.(수직 항력이나 중력도 작용하는데 이 두 힘은 impulsive 한 힘이 아니다. 충돌이 순간적으로 일어난다면, 유한한 크기의 힘이 만드는 충격량은 (충돌 시간->0 이므로) 힘 x충돌 시간->0 이므로 (각)운동량의 변화에 기여하지 않는다.) 물론, 넘어지는 과정에서는 각운동량은 바꾸지만 이 문제에서 필요한 것은 충돌 직후의 각운동량으로 이 값은 충돌 직전과 같고 이를 이용해서 충돌 직후의 운동에너지$(K_f = {L_f^2}/{2I})$를 계산할 수 있다)

$$ \text{충돌 직전 각운동량} (L_i = Mva) =\text {충돌 직후 각운동량} (L_f) = L \quad (w.r.t.\text {턱})$$

 

충돌 직후에는 턱을 회전축으로 회전을 한다. 턱(정육면체 한 변)에 대한 회전관성은 

$$I=\frac{8Ma^2 }{3} \quad \text{정육면체 변에 대한 회전관성}$$

넘어가는 과정에서는 중력만 일을 하므로 정육면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이 된다. 따라서 충돌 직후 운동에너지(턱에 대한 회전에너지=$K$)가 무게중심이 가장 높이 올라갔을 때 위치에너지의 증가$(\Delta U = Mga (\sqrt{2}-1))$보다 더 크면 턱을 기준으로 완전하게 회전할 수 있다.

$$K=\frac{L^2 }{2I }= \frac{3M v^2}{16 }\ge Mga (\sqrt{2}-1)=\Delta U,\\ \therefore v \ge 4\sqrt{\frac{\sqrt{2}-1}{3}ga} = 1.486\sqrt{ga}.$$

 
 
 
 
728x90
Posted by hellokt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