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막대의 끝에 또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원판이 부착되어 있다. 이 막대를 흔들리게 할 경우 주기는 얼마나 될까?

더보기

막대에 작용하는 힘은 회전축이 주는 힘(f), 중력(mg), 그리고 원판이 당기는 힘(N)이 있다. 막대가 축에 대해서 회전을 하므로 회전운동방정식은

τhinge=mg2sinθτN=13m2α 여기서 τN은 원판이 당기는 힘이 막대에 작용하는 토크다. 원판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Mg)과 막대가 당기는 힘(N)이 있는데, 원판의 질량중심에 대해서 토크를 만들 수 없다. 따라서 원판은 질량중심에 대해서는 초기조건에 따라 일정하게 회전하거나 회전이 없을 수도 있다. 그리고 원판의 질량중심은 막대의 회전축에 대해서 원운동을 하게 된다. 원판의 접선방향 운동방정식은

τhinge=Mgsinθ+τN=M2α

이 두식에서 각가속도 α을 구하면

(13m2+M2)α=(mg2sinθ+Mg)sinθ

 α=mg2+Mg13m2+M2sinθ

이 운동방정식은 원판이 막대 끝에 질량 M인 점입자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와 동일하다. 원판이 막대 끝에 고정이 되어 있으면 막대가 회전할 때 원판도 질량중심에 대한 회전이 이루어져서 회전관성을 고려해야 한다.

α=mg2+Mg13m2+M2+12MR2sinθ

 

728x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