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원은 두 지점(초점)에서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자취로 표준형의 타원 방정식은
처럼 쓸 수 있다. 이 곡선이 감싸는 면적은 단순하게
이므로 둘레길이는
로 써진다.

처럼 쓰자. 여기서
적분 부분은 장축 반지름이 1이고 이심률이
그리고
임을 이용하면 다음의 결과를 얻는다:
물론 이심률이
참고:
이므로 적분을 하면
인데,
그렇지만 위의 무한수열은 이심률이 작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렴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아 실질적인 계산에 쓰기에는 문제가 있다. 좀 더 빠르게 수렴하는 타원 둘레길이 표현을 찾아보자. 이심률을 쓰는 식은 장축과 단축에 대해서 비대칭적이다. 좀 더 대칭적인 표현을 구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두축의 차이와 두축의 합의 비를 이용하자.
로 정의하면
임을 알 수 있고,
여기서
을 얻는다. 그리고
이므로 다음과 같은 타원 둘레길이에 대한 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이다. 완전히 납작한 타원(
임을 확인할 수 있다.
'Mathe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의 나이는(Age of Earth)? (0) | 2024.02.11 |
---|---|
n 차원 공의 부피(Volume of an n Ball) (2) | 2024.02.07 |
왜 땅속은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가? (1) | 2024.02.03 |
Rejection Sampling (0) | 2023.02.20 |
왜 샘플 편차를 계산할 때 n-1로 나누는가?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