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표면의 물질은 달의 인력뿐만 아니라 지구의 인력도 받는다(물론 태양의 인력도 받지만 무시하자). 따라서 달이 지구에 너무 가까운 궤도에 생성되었다면 달표면의 물질에 작용하는 지구중력이 너무 세져서 달이 온전히 궤도운동을 하지 못하고 부서졌을 것이다. 달이 부서지지 않고 지구를 돌 수 있는 궤도 반지름의 최솟값은? 달은 변형이 될 수 있지만 간단하게 강체로 보자.

풀이: 달의 공전각속도는
지구를 바로 보는 쪽 달 표면의 입자는 지구 중력(지구 중심 방향), 달의 중력(달 중심 방향)+ 달 표면이 지탱하는 수직항력(지구 중심 방향)의 합력을 구심력으로 하여 달과 더블어 공전을 한다.
여기서
입자가 달 표면에 붙어 있을 조건이
등호는 달 표면의 입자가 달과 지구의 중력만 받고 달과 함께 공전할 수 있는 최소 거리를 의미한다. 이보다 거리가 더 줄어들면 지구의 중력이 달의 중력보다 커져서 달 표면의 입자는 달에서 작용하는 다른 힘의 작용이 없이는 달과 같이 공전할 수 없게 되어 달 표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최소거리를 달과 지구의 밀도로 표현하면
달이 완전한 강체가 아니므로 지구쪽으로 길게 늘어질 것이므로 이 한계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는 데, 이를 고려하면
'Physics >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대 질량중심의 최대 속력은? (2) | 2025.02.25 |
---|---|
마찰면에서 회전하는 원판의 각가속도는? (0) | 2025.02.24 |
고무밴드와 기둥 사이의 마찰계수는? (0) | 2025.02.23 |
막대가 바닥에 닿는데 걸리는 시간은? (0) | 2025.02.23 |
용수철 진자의 주기비는?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