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히 긴 두 막대가 그림처럼 교차하고 있다. 각 막대의 단위 길이당 질량은 $\rho$로 일정하고, 두 막대의 가장 가까운 거리는 $a$이다. 두 막대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은?

  1. $a$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2. $a$에 반비례한다.
  3. $a$에 무관하다.
더보기

이 문제의 차원을 가지는 물리량은 중력상수, 선밀도, 거리 $a$이므로 중력은 이들의 조합으로 써질 것이다.

$$F \propto G^\delta \rho^\beta a^\gamma $$

양변의 차원이 같아야 하므로 $\delta =1$, $\beta=2$,  $\gamma=0$임을 알 수 있다: $F \propto G \rho^2$. 따라서 떨어진 거리 $a$에 무관하다. 물론 $\alpha=0$인 경우는 발산하다. $\alpha$에 대한 의존도는 $\alpha$ 자체가 차원이 없으므로 차원해석으로 구할 수 없고, 직접 적분을 해야하는데 그 결과는 \[ F= \frac{2\pi G \rho^2}{\sin \alpha}  \]

두 번째 질문: 막대의 길이$=L$이 충분히 길지만 $(L \gg a)$ 유한하다면 힘은 무한히 긴 경우에서 약간 벗어난 형태로 표현될 것이다. 벗어난 정도는 어떤 식으로 표현될까?

 

힌트: 구체적인 적분이 필요하지 않고 차원해석만 사용할 수 있으면 답을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력에 대해서도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 https://kipl.tistory.com/473 풀이:

더보기

중력 붕괴 상황에서 관여하는 물리량은 중력상수(G), 밀도 ($\rho$), 그리고 별의 크기 ($R$)뿐이다. 따라서 중력붕괴에 걸리는 시간도 이 세 물리량에만 의존할 것이다. 

$$T \sim G^a \rho^b R^c$$

양변의 차원을 맞추어 보면, $[G]={\rm m^3 /kg.s^2}$, $ [ \rho] = {\rm kg/m^3 }$이므로 

$$ T\sim G^{-1/2}\rho^{-1/2} R^0=\frac{1}{\sqrt{G \rho}}$$

이어야 한다. 즉, 중력붕괴에 걸리는 시간은 처음 반지름에 무관하다. 

 
 
 
 
 
 
 
 
728x90
Posted by helloktk
,

적도에서 발사한 미사일이 북극에 도달하기 위한 최소 속력은? 이 속력은 지구 탈출 속력 $v_{e}=\sqrt{GM/R}$보다는 작아야 할 것이다. 지구 자전은 고려하지 않는다.

1. $\sqrt{2\sqrt{2}-2}v_e\approx 0.91v_e$

2. $\sqrt{\sqrt{2}-1}v_e \approx 0.64 v_e$ 

3. $\frac{1}{2}v_e$

4. $(\sqrt{2}-1)v_e\approx 0.41 v_e$

 

더보기
더보기

케플러 1법칙에 의해서 미사일은 지구 중심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궤도를 움직인다. 타원궤도 운동을 하는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타원의 장반경이 작을수록 낮아진다: $E_{ellipse} = -\frac{GMm}{2a}$. 발사지점과 북극이 타원 위에 있다는 사실을 사용하자. 타원의 성질에 의해서 1 초점인 지구 중심에서 북극(또는 발사지점)까지 거리와 북극(또는 발사지점)에서 2 초점까지 거리 합이 장반경의 2배이다. 중심에서 북극/발사지점까지 거리는 지구 반지름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장반경을 줄이기 위해서는 북극/발사지점에서 2초점까지 거리가 최소가 되어야 한다. 기하학적으로 2 초점이 북극과 발사지점을 연결하는 중간(위도 45상)에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장반경은 $2a =R + R\cos(45^\circ) = R(1+1/\sqrt{2})$로 주어진다. 따라서 역학적 에너지 보존을 쓰면 최소 속력을 구할 수 있다:

$$ \frac{1}{2}mv_{min}^2 -\frac{GMm}{R}=-\frac{GMm}{ R(1+1/\sqrt{2})}.$$

노란선: 지구표면, 파란선: 타원궤도, 붉은 점=초점

 

foci = {{0, 0}, {1/2, 1/2}};
a = (Sqrt[2] + 1)/(2 Sqrt[2]);
{{x1, y1}, {x2, y2}} = foci;
d = EuclideanDistance @@ foci;
ParametricPlot[{{(x1 + x2)/2, (y1 + y2)/2} + {a/d (x2 - x1) Cos[t] + 
     Sqrt[a^2/d^2 - 1/4] (y1 - y2) Sin[t],  a/d (y2 - y1) Cos[t] + 
     Sqrt[a^2/d^2 - 1/4] (x2 - x1) Sin[t]}, {Cos[t], Sin[t]}}, 
     {t, 0, 2 Pi}, Epilog -> {RGBColor[1, 0, 0], Point[foci]}]
 
 
 
 
 
728x90

'Physics >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닥에 닿는 속력은?  (0) 2022.02.19
어디에 도착하는가?  (0) 2022.02.19
지구의 반쪽끼리 서로 당기는 중력의 세기는?  (0) 2022.02.16
출발 가속도는?  (0) 2022.02.16
막대의 운동에너지는?  (0) 2022.02.16
Posted by helloktk
,

지구를 정확히 반으로 갈랐을 때 반쪽끼리 서로 당기는 중력의 세기는?

1. $\frac{GM^2}{16R^2}$

2. $\frac{GM^2}{8R^2}$

3. $\frac{3GM^2}{16R^2}$

4. $\frac{GM^2}{4R^2}$

 
 
 
더보기

지구 내부에서 중력장은 $\vec{g}= -\frac{GM}{R^3}\vec{r}$임은 쉽게 알 수 있다. 이 중력장이 오른쪽 절반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면 (쉽게 입자들의 모임으로 생각하자)

$$ \vec {F}_\text{right} = \sum_\text{right} m_i g(\vec{r}_i) = - \frac{GM}{R^3} \sum_\text{right} m_i \vec{r}_i $$

$\sum_\text{right} m_i \vec{r}_i$는 오른쪽 반구의 질량중심과 질량으로 표현이 가능한데, 그 결과(https://kipl.tistory.com/407)는 $\frac{M}{2} \frac{3}{8}R\hat{i}= \frac{3}{16} MR \hat{i}$ 이다($x$ 축=수평). 따라서 

$$ \vec{F}_\text{right} = - \frac{3}{16}\frac{GM^2}{R^2} \hat{i}$$이고, 이 힘은 왼쪽 절반이 오른쪽에 작용하는 중력과 오른쪽 절반이 오른쪽 절반에게 주는 중력의 합이다. 그런데 오른쪽 절반이 만드는 중력장에 의해서 오른쪽 절반이 받는 힘은 항상 작용-반작용의 짝을 가지므로 전체를 합하면 0이 된다. 즉, $\vec{F}_\text{right}$는 왼쪽 절반이 오른쪽 절반에게 주는 중력만 기여한다. 

 

 
 
 
728x90

'Physics >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디에 도착하는가?  (0) 2022.02.19
적도에서 출발한 미사일이 북극에 도달하려면?  (0) 2022.02.16
출발 가속도는?  (0) 2022.02.16
막대의 운동에너지는?  (0) 2022.02.16
반구체의 질량중심은?  (0) 2022.02.14
Posted by helloktk
,

지구가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세기는 지구의 중심(무게중심)에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게 작용한다. 컵 속에 각설탕을 넣는다고 하자. 각설탕은 지구 중력과 컵 중력을 받고 아래로 내려가지만 컵의 무게중심에 가까워질수록 거리가 작아지므로 컵이 작용하는 중력이 매우 커지게 된다. 각설탕이 어찌어찌해서 컵의 무게중심에 매우 가까운 아래쪽 적당한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B:경우) 위쪽으로 작용하는 컵의 중력이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지구의 중력을 상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설탕은 무게중심 약간 아래쪽에서 떠있어야 하는데 이런 현상은 누구도 본 적이 없다. 왜 그럴까?

 
728x90

'Physics >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공은 움직이지 않을까?  (0) 2021.01.17
두레박이 달린 진자  (0) 2021.01.17
불타는 양초 시소  (3) 2021.01.17
용수철 저울의 눈금은?  (0) 2021.01.17
태양계 행성의 hodograph  (0) 2021.01.16
Posted by helloktk
,

위쪽 물체를 일정한 속도로 위로 당기다 보면 용수철로 연결된 아래쪽 물체가 어느 순간 바닥에서 떨어진다. 그런데 너무 빠르게 당기면 아래쪽 물체가 나중에 위쪽 물체와 부딪칠 수 있다. 당기는 속도가 얼마일 때 이런 현상이 가능한가? 압축된 용수철의 길이는 $L$이고, 용수철은 완전히 압축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고무줄로 생각하면 된다)

힌트: 위쪽 물체와 같이 일정하게 위로 움직이는 관찰자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이 쉽다.

 
더보기

처음 용수철은 원래 길이($L_0$)보다 $  mg /k=d_0$만큼 압축이 된 상태($L = L_0 -d_0$)이다. 바닥의 물체가 뜨기 위해서는 용수철이 원래길이보다 $d_0$만큼 더 늘어나야 한다. 위로 $v$로 움직이는 관찰자가 보면 바닥에서 떨어지기 직전 역학적 에너지는(위쪽 물체를 중력 위치에너지 기준점으로 삼음)

$$ E_i = \frac{1}{2} mv^2 + \frac{1}{2} kd_0^2 - mg(L + 2d_0)$$

충돌 직전 역학적 에너지는 용수철의 길이가 0이 되게 압축이 되었으므로

$$ E_f = \frac{1}{2} k (L+d_0)^2 $$

이다. 정리하면 

$$v^2 = \frac{k}{m} \left( L + \frac{2mg}{k} \right)^2 \ge  \frac{k}{m} \left( 2\sqrt{\frac{2Lmg}{k}} \right)^2$$ 

$$ \therefore~v \ge 2 \sqrt{2gL}$$

728x90
Posted by hellokt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