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53%

줄에 걸리는 장력을 줄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 stress (σ=T/A)는 균일한 줄에서는 일반적으로 일정할 수 없다. 현수선에서 줄에 걸리는 stress를 유지하려면 줄의 단면적을 가변적으로 만들면 가능하다. 이 경우 현수선 중심선의 모양 y(x)가 어떻게 주어지는 알아보자. 현수선의 밀도가 ρ, 꼭짓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s인 지점의 단면적이 A(s)일 때, 힘의 평형 조건에서 

Fx=TcosψT0=0,

Fy=TsinψρgA(s)ds=0.

여기서 T0는 장력의 수평성분으로 꼭짓점에서 장력을 의미한다. 위 식에서 T를 소거하여 정리하면

y=tanψ=ρgA(s)dsT0

을 얻는다. stress가 일정하다는 조건 σ=T/A(s)에서 A(s)=T(s)/σ=T0/σcosψ로 치환하면

y=ρgσdscosψ.

양변을 s로 미분하면 

LHS=ddsy=dxdsy

RHS=ρgσ1cosψ.

tanψ=dy/dx 이므로 cosψ=1/1+(dy/dx)2, 그리고 ds/dx=1+(dy/dx)2 이므로

곡선이 만족해야 하는 방정식은

y=ρgσ(1+(y)2)

으로 주어진다.

 

꼭짓점이 x=0을 통과하게 선택하면 y(x=0)=0이므로 위식을 적분하면

y=tan(ρgσx).

꼭짓점이 원점에 있게 좌표를 잡으면, y(x=0)=0, 위 식을 적분해서

y=σρglogcos(ρgσx)

을 얻는다. 꼭짓점 근방에서 위 곡선은 포물선으로 근사된다.

yρg2σx2+....

https://kipl.tistory.com/352

 

Catenary

체인이나 줄을 느슨한 상태로 양끝을 고정시킬 때 모양은 포물선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고 현수선(catenary)라고 불리는 곡선이다. 양끝을 고정시킨 줄을 보자. 늘어진 줄에는 자신의

kipl.tistory.com

 

728x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