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hysics >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나무에 감긴 줄을 이용해서 물건 들기 (2) | 2016.01.26 |
---|---|
용수철이 늘어난 길이는? (0) | 2016.01.26 |
실패의 풀린 실끝이 움직인 거리는? (0) | 2016.01.24 |
Pisa의 탑은 얼마쯤 기울어지면 넘어지는가? (0) | 2016.01.23 |
가속하는 버스에서 넘어질 조건은? (0) | 2016.01.22 |
통나무에 감긴 줄을 이용해서 물건 들기 (2) | 2016.01.26 |
---|---|
용수철이 늘어난 길이는? (0) | 2016.01.26 |
실패의 풀린 실끝이 움직인 거리는? (0) | 2016.01.24 |
Pisa의 탑은 얼마쯤 기울어지면 넘어지는가? (0) | 2016.01.23 |
가속하는 버스에서 넘어질 조건은? (0) | 2016.01.22 |
실패(pulley)의 둘레에 실을 감은 후 미끄러짐이 없이 구르게 당긴다. 실패의 중심이 이동한 거리와 당긴 실의 끝이 이동한 거리의 관계는?
실을 당기면 실패는 회전하면서 앞으로 전진한다. 풀린 실의 길이는 가장자리가 회전한 거리만큼(
용수철이 늘어난 길이는? (0) | 2016.01.26 |
---|---|
차가 앞으로 전진할 수 있는가? (1) | 2016.01.25 |
Pisa의 탑은 얼마쯤 기울어지면 넘어지는가? (0) | 2016.01.23 |
가속하는 버스에서 넘어질 조건은? (0) | 2016.01.22 |
냉장고를 밀면 넘어질까 아니면 미끄러질까? (0) | 2016.01.22 |
현재 피사의 탑은 수직에 대해서 5.5도 정도 기울어져 있다고 한다. 어느 각도까지 넘어지지 않고 견딜 수 있을까?
간단히 추정하기 위해 탑을 균일한 원통형 기둥으로 생각하면 탑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연직선이 탑의 맨 아래 가장자리를 넘어서는 경우에 넘어지게 된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 중력이 만드는 넘어지는 토크를 상쇄시킬 방법이 없다. (물론 외부에서 줄로 당기면 된다) 따라서 임계각은
피사 탑은 높이가
차가 앞으로 전진할 수 있는가? (1) | 2016.01.25 |
---|---|
실패의 풀린 실끝이 움직인 거리는? (0) | 2016.01.24 |
가속하는 버스에서 넘어질 조건은? (0) | 2016.01.22 |
냉장고를 밀면 넘어질까 아니면 미끄러질까? (0) | 2016.01.22 |
막대가 운동을 시작할 때 줄에 걸리는 힘은? (0) | 2016.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