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다음의 도르래 구성 중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은?

https://kipl.tistory.com/124 풀이:

더보기

고정 도르래의 질량을 무시할 수 있으므로 양쪽 줄의 장력은 같아야 한다: T.

따라서 물체와 요요의  질량중심의 운동은 동일해야 한다. Fy=mgT=ma  (내려가는 방향=+)

즉, 물체와 요요는 동시에 바닥에 닿는다. 물체와 요요가 내려가는 가속도는 얼마인가?

요요의 시계 방향 회전 각가속도가 α이면 중심축에 대한 회전 운동 방정식은 τcm=TR=Iα.

물체와 요요의 중심이 내려간 거리의 합은 요요에 감긴 줄이 풀린 길이와 같다: 2y=Rθ.

이를 두 번 미분하면 2a=Rα

따라서 T, α을 소거하면 

a=g1+2I/mR2

요요에 연결된 줄의 한 지점을 표시하면 이 지점의 가속도는 위쪽으로 왼쪽 물체가 내려가는 가속도 크기를 가진다.

 
 
 
728x90

'Physics >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대의 평형 위치는  (0) 2016.01.21
어느 자가 더 빨리 넘어지는가?  (0) 2016.01.20
실패가 구르는 방향은?  (0) 2016.01.20
누가 더 먼저 떨어지는가?  (0) 2016.01.19
누가 제일 무겁다고 느낄까?  (0) 2016.01.19
,

감긴 줄을 그림에 표시된 방향으로 당길 때 실패는 어느 방향으로 구르는가? 물리법칙을 이용해서 설명할 수 있는가? 첫 번째는 명확하다...

[Q1] 두 번째는?

  1. 왼쪽
  2. 오른쪽
  3. 정보 부족

[Q2] 세번째는?

  1. 왼쪽
  2. 오른쪽
  3. 정보 부족

[Q3] 각 경우 마찰력의 방향은?

유튜브 동영상을 볼까요? 동영상을 보면 구르지 않고 끌려오는 경우가 있다. 어떤 조건에서 이러한 현상이 생길까?

https://youtu.be/tFHd8__h1QU

더보기

중간 그림: 실패의 회전관성을 I=γmR2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0<γ1이다. 마찰력의 방향이 반드시 중심의 이동과 반대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사전에 마찰력의 방향을 바로 결정할 수 없다. 물체가 미끄러짐이 없이 구르는 경우는 다른 방법으로 마찰력을 결정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다. 구르는 경우는 접촉점에 대한 순간적인 회전운동으로도 설명된다. 이 경우 마찰력은 토크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실패의 운동식은

Icontactα=τcontact=T(Rb),(b=radius of inner cyliner)

따라서 물체의 질량중심 가속도는 (τcontact=(1+γ)mR2) 

a=Rα=1b/R1+γTm<Tm

질량중심의 가속도를 결정하는 외력은 장력과 마찰력인데, 장력만 고려할 때 가속도 Tm보다 작으므로 마찰력은 장력과 반대방향이어야 한다. 

 
 
728x90
,

YoYo에 실을 감고 끝에는 같은 질량의 물체를 묶은 후 가벼운 도르래에 걸쳐 놓았다. 운동을 시작하면 어느 쪽이 먼저 바닥에 도달할까?(요요는 실이 풀리면서 내려간다)

풀이:  https://kipl.tistory.com/126의 하단

728x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