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슨한 줄로 천장에 매달린 막대(길이 =)가 자유낙하를 하다가 속도가 v0가 되었을 때 줄이 45도로 팽팽해졌다. 줄이 팽팽해진 직후 막대의 질량중심이 움직이는 속도와 회전 각속도는?

풀이:

더보기

줄이 팽팽해지는 순간 막대에는 위쪽 방향의 충격을 받는다. 이 충격으로 인해 질량중심의 속도(vx(:줄에 수직), vy(:줄방향)에 변화가 생기고 또는 충격력에 의한 토크로 회전각속도(ω: 반시계방향)를 가진다. 줄이 묶인 지점을 축으로 순간회전하고, 이 축에 대한 impulsive torque가 없으므로(중력은 non-impulsive) 이 축에 대한 각운동량이 보존된다.

Lend=const:  (mv0)2=Iω+(mvx)2cosθ(mvy)2sinθ

충격력이 줄방향으로만 작용하므로 줄에 수직인 운동량 성분은 보존된다.

p=const:  mv0cosθ=mvx

줄이 팽팽해진 직후 줄에 연결된 끝은 순간적으로 회전운동을 하므로 줄방향 속도성분이 0이 되어야 한다.

v=vy+ω2sinθ=0

미지수 vx,vy,ω 3개에 식이 3개 제공되므로 풀 수 있고, 

vx=v0cosθ=v02ω=6v0sin2θ1+3sin2θ=65v0vy=ω2sinθ=3v052

728x90
,

빙판 위에서 회전하는 동전의 가장자리 한 지점을 순간적으로 붙잡는다. 이후 동전의 중심이 움직이게 되는데 그 속도가 붙잡히기 직전 그 지점 속도(접선속도)의 1/5임을 보일 수 있다.

풀이:

더보기

붙잡는 과정에서 충격량 J=Ji^이 동전에 전달된다(전제: 붙잡는 순간 동전면이 yz평면에 있고, 위에서 내려다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ω=ωk^). 붙잡힌 직후 운동량 변화는

ΔP=Ji^  충격량은 각운동량도 변화시키므로 (붙잡힌 지점: rP=Rsinθj^+Rcosθk^)

ΔL=rP×ΔP=JRsinθk^+JRcosθj^

따라서 붙잡힌 직후 동전의 각운동량은

Lf=Izωk^JRsinθk^+JRcosθj^

붙잡히 지점은 정지하므로

vf=vcm+ωf×rP=0

JMi^ωRsinθi^+1Iz(JRsinθ)Rsinθi^+1Iy(JRcosθ)Rcosθi^=0

그런데 Iy=Iz=14MR2이므로

J=M5ωRsinθ 회전축에서 먼 지점을 붙잡을수록 더 큰 충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붙잡히기 직전 그 지점의 접선 속력이 

vi=ωRsinθ    J=M5vi

이므로 붙잡힌 직후 질량중심이 움직이는 속력은

vf,cm=JM=vi5

728x90
,

나무막대(길이=)를 바위에 쳐서 부러뜨리려고 한다. 막대의 어느 지점이 바위에 닿게 쳐야 손이 받은 충격을 최소로 할 수 있을까? 손은 막대의 끝을 잡았고, 중력은 무시해도 된다.

풀이:

더보기

바위를 치는 지점이 막대의 질량중심을 넘지 않으면 질량중심의 가속도와 손잡이 부분에서 회전에 의한 접선 가속도가 같은 방향이어서 항상 힘을 받는다. 막대가 바위를 치는 과정에서 바위는 막대에게 힘 Frock을 주고 또 손에서 힘(Fhand)을 줄 수 있다. 이 두 힘이 막대의 질량중심을 가속시키고, 또한 질량중심에 대해서 회전운동을 만든다. 손이 잡고 있는 끝부분은 질량중심과 같은 가속도 성분(acm)과 회전에 의한 반대방향의 접선가속도(at=2α)를 가지게 된다. 방향이 반대인 이 두 가속도의 벡터합이 손을 잡고 있는 끝부분의 알짜 가속도가 되고, 끝부분이 움직이지 않으면 손에 충격을 주게 된다. 따라서 손이 충격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이 가속도가 0이 되도록 바위에 부딪히는 위치를 조절해야 한다. 손에서 부딪히는 지점까지 거리를 x라면, 막대의 운동방정식은

translation: macm=Frock+Fhand,rotation: Iα=Frock(x2)Fhand2

손잡이 부분의 가속도가 0이 되어야 하므로

aend=acm2α=Frock+Fhandm2I[Frock(x2)Fhand2]=0  FhandFrock=m2(x122Im2)1+m24I

손이 작용하는 힘이 0이기 위해서는

x=12+2Im2을 만족시켜야 한다. 막대의 회전관성이 I=m2/12이므로

x=23

즉 막대 끝을 잡고 내리칠 때 막대 길이의 2/3 지점을 치면 손이 받은 충격이 없게 된다.

728x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