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도가 물의 두 배인 물체를 두 가지 방법으로 물 속에 가라앉혔다. 물이 물체에 작용하는 총수압이 더 큰 쪽은? 단, 물체의 바닥은 물그릇의 바닥과 완전히 밀착되어 있다.

1. A

2. B

3. A = B

728x90
,

대기압하에서 밀도가 물의 절반인 공을 줄을 이용해서 물이 담긴 컵바닥에 고정했다. 물이 컵의 바닥에 주는 총 힘은?

1. $P_\text{atm} A + Mg$

2. $P_\text{atm} A + (M+m)g$

3. $P_\text{atm} A + (M+2m)g$

728x90
,

동일한 비커에 같은 양의 물을 채운 후 한쪽 비커에는 바닥에 연결된 줄로 탁구공을 완전히 잠기도록 만들었고, 다른 비커에는 스탠드와 줄을 이용해서 쇠공이 바닥에 닿지 않고 물속에 완전히 잠겨 있게 만들었다. 이 두 비커를 그대로 양팔 저울 위에 올리면 어느 쪽으로 기울까? 단, 탁구공과 쇠공의 부피는 같다. (이 문제는 googling을 하면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유명하다)

1. 수평을 유지: 탁구공과 쇠공이 밀어낸 물의 부피가 같아 비커 바닥이 받는 압력도 동일하게 증가하므로

2. 탁구공 쪽: 쇠공은 스탠드가 지탱하여 영향이 없지만 탁구공의 무게는 결국 바닥이 받기 때문에

3. 쇠공 쪽: 부력은 같지만 탁구공에 연결된 줄은 위로 당겨 바닥을 누르는 힘이 감소시키므로

 

풀이:

더보기
물+비커의 자유물체도

각 비커를 정지상태로 만들기 위해 각각의 저울접시가 주는 힘(수직항력)을 구하자. 

왼쪽: 탁구공의 질량을 $m$, 받는 부력을 $B_1$이라면 줄에 걸리는 장력은 $T_1 = B_1-mg$이므로 비커가 받는 힘은(양쪽이 동일한 비커이므로 비커 질량=0으로 해도 무방함) 

$$ N_1 = W + B_1(reaction)-T_1= W + mg$$

왼쪽 저울접시가 받는 힘은 물(+비커)+탁구공 무게다.

 

오른쪽: 쇠공이 받는 부력은 왼쪽 탁구공이 받는 부력과 같다: $B_2 = B_1 =\rho_w g V_\text{ball}$

$$N_2 =W + B_2(reaction)= W+ \rho g V_\text{ball}$$

오른쪽 저울접시가 받는 힘은 물(+비커) 무게와 쇠구슬에 작용한 부력의 반작용이다.

따라서

$$N_2 - N_1 = \rho g V_\text{ball} - mg >0$$

왜냐면 탁구공의 무게($mg$)보다 같은 부피의 물무게($\rho g V_\text{ball}$)가 더 무겁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오른쪽이 더 많이 지탱해야 하므로, 달리 말하며 오른쪽 저울 접시가 더 세게 눌리므로 저울을 오른쪽으로 기운다. 

728x90
,

모양은 다르지만 바닥의 면적이 같은 세 용기에 같은 양의 물의 채운다.

1. 용기 바닥이 물로부터 받는 힘의 크기 순서대로 나열하면?

2. 저울의 눈금이 커지는 순서대로 나열하면(단, 용기의 무게는 같다고 생각한다)

3. 두 답에 차이가 있는가? 있다면 왜 그렇까?

 
 
 
 
728x90

'Physics > 유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울은 어느 쪽으로 기울까?  (0) 2021.01.07
수면의 높이는?  (1) 2020.12.29
얼음이 녹으면 경계면의 높이는?  (2) 2020.10.29
저울의 눈금은?  (0) 2017.01.11
스티로폼이 가라앉는 깊이는?  (0) 2017.01.11
,

두 개의 사다리꼴 모양으로 생긴 통에 물을 넣고 튜브를 이용해서 연결하여 같은 높이가 되게 만들었다. 

  • A의 물을 가열하여 팽창시키면 튜브를 따라 물이 흐를까? 흐른다면 어느 방향인가?
  • B의 물을 가열하여 팽창시키면 튜브를 따라 물이 흐를까? 흐른다면 어느 방향인가?

단, 통은 팽창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더보기

통바닥 압력차에 의해서 물이 흐르는 방향이 결정된다. 물 속에서 압력은 깊이 $h$와 밀도 $\rho$에 의해서 정해진다:

$$p= p_0 + \rho g h$$

물을 가열하면 팽창하므로 밀도는 감소하고, 수면의 높이($h$)는 증가하게 된다. 압력은 이 둘의 곱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통의 모양에 따라서 어떻게 변하는지를 파악하면 된다:

통의 모양이 사다리꼴이고 밀도는 단면적에 반비례한다(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길이가 모두 같으므로).

사다리꼴의 단면적은 $S= wh$ ($w$ = 사다리꼴 중간에서 폭)로 주어지므로

$$\rho h \propto \frac{h}{S}=\frac{1}{w}$$

$A$가 팽창하면 수면의 높이가 올라가고 이에 따라 중간 폭($w$)도 증가한다. 따라서 바닥에서 압력은 감소한다.

반대로 $B$가 팽창하면 수면의 높이가 올라가지만 이에 따라 중간의 폭은 감소한다. 따라서 바닥에서 압력은 증가한다.

 

728x90

'Physics > 유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중계의 눈금이 가장 작아지는 경우는?  (2) 2016.12.29
왜 기린은 다리를 벌리고 물을 마실까?  (1) 2016.02.11
잠긴 부분의 부피는?  (0) 2016.02.05
저울의 눈금은?  (0) 2016.02.03
물기둥의 높이는?  (1) 2016.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