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f C}_k \} =\text{argmin}(L) \\ L = \sum_{k=0}^{N-1} \left|  {\bf P}_k - \sum_{i=0}^n  b_{i,n} (t_k ) {\bf C} _i   \right|^2 $$

\begin{gather} t_k = d_k / d_{N-1}, \quad d_k = d_{k-1} + | {\bf P}_k -{\bf P}_{k-1}|\end{gather}

$$\text{Bernstein basis polynomial: } b_{i, n} (t)= \begin{pmatrix} n \\i \end{pmatrix} t^{i} (1-t)^{n-i} = \sum_{j=0}^n t^j  M_{ji} $$

$$ M_{ji} = \frac{n!}{(n-j)!} \frac{ (-1)^{j+i}}{ i! (j-i)!} =(-1)^{j+i}  M_{jj} \begin{pmatrix} j\\i  \end{pmatrix} \quad (j\ge i)$$

$$ \text{note: }~M_{jj} = \begin{pmatrix} n\\j \end{pmatrix},\qquad M_{ji}=0\quad (j<i)$$

// calculate binomial coefficients using Pascal's triangle
void binomialCoeffs(int n, double** C) {
    // binomial coefficients
    for (int i = 0; i <= n; i++)
        for (int j = 0; j <= i; j++)
            if (j == 0 || j == i) C[i][j] = 1;
            else                  C[i][j] = C[i - 1][j - 1] + C[i - 1][j];
}
std::vector<double> basisMatrix(int degree) {
    const int n = degree + 1;
    std::vector<double* > C(n);
    std::vector<double> Cbuff(n*n);
    for (int i = n; i-->0;) 
        C[i] = &Cbuff[i * n];
    // C[degree, k]; k=0,..,degree)
    binomialCoeffs(degree, &C[0]);
    // seting the diagonal;
    std::vector<double> M(n * n, 0); // lower triangle; 
    for (int j = 0; j <= degree; j++)
        M[j * n + j] = C[degree][j];
    // compute the remainings;
    for (int i = 0; i <= degree; i++) 
        for (int j = i + 1; j <= degree; j++)
            M[j * n + i] = ((j + i) & 1 ? -1 : 1) * C[j][i] * M[j * n + j];
    return M;
}
728x90

'Computational Geome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dividing a Bezier Curve  (0) 2024.04.18
Derivatives of Bezier Curves  (1) 2024.04.12
Why Cubic Splines?  (9) 2024.03.16
Natural Cubic Spline  (0) 2024.03.11
Approximate Distance Between Ellipse and Point  (0) 2024.03.08
Posted by helloktk
,

주어진 데이터를 잘 피팅하는 직선을 찾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이루는 각 점의 $y$ 값과 같은 위치에서 구하려는 직선과의 차이 (residual)의 제곱을 최소화시키는 조건을 사용한다. 그러나 직선의 기울기가 매우 커지는 경우에는  데이터에 들어있는 outlier에 대해서는 그 차이가 매우 커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어 올바른 피팅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수정하는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y$값의 차이를 이용하지 않고 데이터와 직선 간의 최단거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수평에서 기울어진 각도가 $\theta$이고 원점에서 거리가 $s$인 직선의 방정식은 

$$ x \sin \theta - y \cos \theta + s=0$$

이고, 한 점 $(x_i, y_i)$에서 이 직선까지 거리는

$$ d_i = | \sin \theta y_i - \cos \theta x_i + s|$$

이다. 따라서 주어진 데이터에서 떨어진 거리 제곱의 합이 최소인 직선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을 최소화시키는 $\theta, s$을 구해야 한다. $$ L = \sum_i \big( \sin \theta x_i - \cos \theta y_i +s \big)^2 \\ (\theta, s)=\text{argmin}(L)$$

$\theta$와 $s$에 대한 극값 조건에서 

$$\frac{1}{2} \frac{\partial L}{\partial \theta} = \frac{1}{2} \sin 2 \theta \sum_i (x_i^2 - y_i^2) - \cos 2 \theta \sum x_i y_i + s \sin \theta \sum_i x_i + s \cos \theta \sum_i y_i = 0$$

$$ \frac{1}{2}\frac{\partial L}{\partial s}=\cos \theta \sum y_i  - \sin \theta \sum_i x_i - N s=0$$

주어진 데이터의 질량중심계에서 계산을 수행하면 $\sum_i x_i = \sum_i y_i =0$ 이므로 데이터의 2차 모멘트를 $$ A= \sum_i (x_i^2 - y_i^2), \qquad B = \sum_i x_i y_i $$로 놓으면 직선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식은

$$ \frac{1}{2} A \sin 2 \theta   - B \cos 2 \theta = 0  \qquad \to \quad  \tan 2\theta = \frac{2B}{A} \\ s = 0$$

두 번째 식은 직선이 질량중심(질량중심계에서 원점)을 통과함을 의미한다. 첫번째 식을 풀면

$$ \tan \theta = \frac{- A \pm \sqrt{A^2 + (2B)^2 }}{2B}$$

두 해 중에서 극소값 조건을 만족시키는 해가 직선을 결정한다. 그런데

$$ \frac{1}{2}\frac{\partial^2 L}{\partial \theta^2}=  A \cos 2 \theta + 2B \sin 2 \theta = \pm \sqrt{A^2 + (2B)^2}  >0$$

이므로 위쪽 부호로 직선($x\sin \theta = y\cos \theta$)이 정해진다. 질량중심계에서는 원점을 지나지만 원좌표계로 돌아오면 데이터의 질량중심을 통과하도록 평행이동시키면 된다.

$$  \left(-A+ \sqrt{A^2+ (2B)^2} \right)  (x-\bar{x}) = 2B (y - \bar{y})  $$

여기서 주어진 데이터의 질량중심은 원좌표계에서

$$ \bar{x} = \frac{1}{N} \sum_i x_i, \quad \bar{y} = \frac{1}{N} \sum_i y_i$$

이다. 또한 원좌표계에서 $A$와 $B$의 계산은 

$$ A = \sum_i [ (x_i - \bar{x})^2 - (y_i - \bar{y})^2], \qquad B = \sum (x_i  - \bar{x})(y_i - \bar{y})$$ 

이 결과는 데이터 분포에 PCA를 적용해서 얻은 결과와 동일하다. PCA에서는 공분산 행렬의 고유값이 큰 쪽에 해당하는 고유벡터가 직선의 방향을 결정했다. https://kipl.tistory.com/211.  또한 통계에서는 Deming regression이라고 불린다.

 

PCA Line Fitting

평면 위에 점집합이 주어지고 이들을 잘 기술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해야 할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미지의 에지 정보를 이용해 선분을 찾는 경우에 hough transform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kipl.tistory.com

728x90

'Image Recognition > Fundament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roximate Distance Transform  (0) 2024.06.02
Graph-based Segmentation  (1) 2024.05.26
Cubic Spline Kernel  (1) 2024.03.12
Ellipse Fitting  (0) 2024.03.02
Bilateral Filter  (0) 2024.02.18
Posted by helloktk
,

최소 자승법 문제는 추정치와 실제의 측정치와의 차이를 최소로 만드는 parameter vector를 구하는 것이다.
$$\underset{\mathbf{x}} {\text{argmin}} ~|\mathbf{A}. \mathbf{x} - \mathbf{b}|^2.$$

여기서 design matrix $\mathbf{A}$는 추정에 사용이 된 basis 함수를 각각의 독립변수에서 계산한 값이고, $\mathbf{x}$는 구하고자 하는 parameter vector이며, $\mathbf{b}$는 측정값 vector이다. 예를 들면 주어진 측정값을 $n-1$차의 다항식을 이용하여서 피팅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parameter는 다항식의 계수가 되며 $n$-차원의 vector space을 형성하게 되며, $\mathbf{A}$는

$$   A_{ij} = (x_i)^j ,  \quad j=0,..., n-1$$

가 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A_{ij}$는 $x_i$에서 계산된 basis-함수의 값이 된다. 위의 식을 $\mathbf{x}$에 대해서 미분을 하면 극값을 취하면 최소자승 문제는 아래의 행렬식을 푸는 문제가 된다

$$    (\mathbf{A}^T. \mathbf{A}) .\mathbf{x} =  \mathbf{A}^T.  \mathbf{b}.$$

$\mathbf{A}^T. \mathbf{A}$ 은 $n\times n$ matrix다. 이 행렬이 역행렬을 가지게 되면

 $$ \mathbf{x} = (\mathbf{A}^T. \mathbf{A})^{-1} . (\mathbf{A}. \mathbf{b}),$$

를 하여서 원하는 parameter vector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피팅 문제에 따라 행렬 $\mathbf{A}^T. \mathbf{A}$가 매우 singular 해져 역행렬을 구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 종종 생긴다. 예를 들면, 저주파의 신호를 고주파 기저 함수를 이용하여서 최소자승법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이러한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mathbf{A}^T. \mathbf{A}$의 역행렬을 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없고

$$   \mathbf{A} .\mathbf{x} =  \mathbf{b}$$

의 식을 $\mathbf{A}$의 SVD(Singular Value Decomposition)를 이용하여서 풀 수가 있다. $\mathbf{A}$를 SVD 하면 $\mathbf{A}_{m\times n}=\mathbf{U}_{m\times n} . \mathbf{w}_{n\times n}. \mathbf{V}_{n\times n}^T $의 형태로 분해할 수 있다. 여기서 $\mathbf{w}=\text{diag}(\underbrace{w_0, w_1,...}_{\text{nonzero}},0,..,0)$로 쓰여지는 대각행렬이다. matrix $\mathbf{U}$와 $\mathbf{V}$의 column vector를 사용하면
$$ \mathbf{A}  =\sum_{w_k \ne 0} w_k \mathbf{u}_k \otimes \mathbf{v}_k^T$$

의 형태로 쓰인다. $\mathbf{u}_k$는 $\mathbf{U}$의 $k$-번째 열벡터이고, $\mathbf{v}_k$는 $\mathbf{V}$의 $k$-번째 열벡터로 각각 orthonormal basis를 형성한다. parameter 벡터를 $\{ \mathbf{v}_k \}$ basis로 전개를 하면 영이 아닌 singularvalue에 해당하는 성분만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위의 $\mathbf{A}$ 분해와 $\mathbf{u}_j^T.\mathbf{u}_k=\delta_{jk}$, 그리고 $\sum_k \mathbf{v}_k \otimes \mathbf{v}_k^T= \mathbf{I}_{n\times n}$임을 이용하면,

\begin{gather}  \mathbf{v}_k^T . \mathbf{x} = \mathbf{u}_k^T . \mathbf{b} / w_k, \quad w_k \ne 0, \\                    \mathbf{v}_k^T . \mathbf{x} = 0, \quad w_k = 0, \\  \rightarrow ~~\mathbf{x} = \sum _{w_k \ne 0 } ( \mathbf{u}_k^T . \mathbf{b} / w_k)  \mathbf{ v} _k , \end{gather}

이어서 위의 해를 구할 수 있다. 이 해는 $|\mathbf{A} . \mathbf{x} -  \mathbf{b}|^2$를 최소화한다.

cubic polynomial fitting

int svd(double *A, int m, int n, double* w, double *V); // from cmath libary.
void fit_func(double x, double val[], int n) {          // polynomial fitting sample;
    val[0] = 1;
    for(int i = 1; i < n; ++i)
        val[i] = x * val[i - 1];
}
#define EPSILON 1.E-8
int svd_fit(const double x[], const double y[], const int m, const int n,
            void (*fit_func)(double , double [], int ),
            double params[],
            double *error)
{
    double *A = new double [m * n];
    double *w = new double [n];
    double *V = new double [n * n];
    // evaluate design matrix;
    for (int i = 0; i < m; ++i)
        fit_func(x[i], &A[i * n + 0], n) ;

    svd(A, m, n, w, V);
    // now A becomes U matrix;
    // truncate small singular values;
    double wmax = 0;
    for (int i = 0; i < n; ++i)
        if (w[i] > wmax) wmax = w[i];
    double thresh = wmax * EPSILON;
    for (int i = 0; i < n; ++i)
        if (w[i] < thresh) w[i] = 0;
    
    // back substitution;
    double *tmp = new double [n];
    for (int j = 0; j < n; ++j) {
        double s = 0;
        if (w[j]) {
            for (int i = 0; i < m; ++i)
                s += A[i * n + j] * y[i];
            s /= w[j];
        }
        tmp[j] = s;
    }
    for (int j = 0; j < n; ++j) {
        double s = 0;
        for (int jj = 0; jj < n; ++jj)
            s += V[j * n + jj] * tmp[jj];
        params[j] = s;
    };

    //estimate error;
    *error = 0;
    for (int i = 0; i < m; ++i) {
        fit_func(x[i], &A[i * n + 0], n); //use A as a tmp buffer;
        double sum = 0;
        for (int j = 0; j < n; ++j) sum += params[j] * A[i * n + j] ;
        double err = (y[i] - sum);
        *error += err * err ;
    }
    delete[] A; delete[] w; delete[] V;
    delete[] tmp;
    return 1;
}

 

728x90

'Image Recognition > Fundament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age rotation by FFT  (0) 2022.02.18
FFT를 이용한 영상의 미분  (0) 2022.02.12
Color Histogram Equalization  (4) 2022.02.07
Least Squares Fitting of Ellipses  (0) 2022.01.27
Circle Fitting: Pratt  (0) 2022.01.20
Posted by helloktk
,

$m$개의 control point $\{\mathbf{Q}_i\}$가 주어지면  $p$차의 B-Spline curve는 basis 함수를 $N_{i, p}(t)$을 써서

$$ \mathbf{B}(t) = \sum_{i=0}^{m-1} N_{i, p}(t) \mathbf{Q}_i $$

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서 일정한 순서로 샘플링된 평면상의 $N$개의 입력점 $\{ \mathbf{P}_i \}$을 찾아보자. B-spline 곡선을 이용하면 이 문제는 control 점을 찾는 문제가 된다. 곡선이 입력점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곡선과 입력점과의 차이를 최소로 하는 control 점을 찾아야 한다:

$$    \mathbf{ Q}^* = \text{argmin}(L), \quad\quad L:= \sum_{k = 0}^{N-1} | \mathbf{B}(t_k) - \mathbf{P}_k|^2 $$

여기서 $\{ t_k| k=0,1,...,N-1\}$는 입력점이 얻어지는 sample time으로 $0= t_0\le t_1\le...\le t_{N-1}= 1$로 rescale 할 수 있다. 

행렬을 이용해서 식을 좀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L = \sum_{k = 0}^{N-1} | \mathbf{B}(t_k) - \mathbf{P}_k|^2 = \sum_{k = 0}^{N-1} \left| \sum_{i=0}^{m-1} N_{i, p}(t_k) \mathbf{Q}_i -  \mathbf{P}_k \right|^2 = \sum_{k = 0}^{N-1} \left| \sum_{i=0}^{m-1} A_{ki} \mathbf{Q}_i - \mathbf{P}_k \right|^2, \\ \quad A_{ki} = N_{i, p}(t_k) $$

로 쓸 수 있으므로, $\hat {Q}= (\mathbf{Q}_0, \mathbf{Q}_1,..., \mathbf{Q}_{m-1})^t$, $\hat {P} = (\mathbf{P}_0, \mathbf{P}_1,..., \mathbf{P}_{N-1})^t$인 벡터, 그리고 $ \hat {A} = (A_{ki})$인 행렬로 보면

$$ L= \left| \hat{A} \cdot \hat {Q} - \hat {P} \right|^2 =  (\hat{Q}^t \cdot \hat {A}^t -\hat{P}^t ) \cdot (\hat{A}\cdot \hat{Q} - \hat{P}).$$

위 식의 값을 최소로 하는 최소자승해는 $\hat {Q}^t$에 대한 미분 값이 0인 벡터를 찾으면 된다; $$ \frac {\partial L}{\partial \hat {Q}^t } = \hat {A}^t \cdot \hat {A} \cdot \hat {Q} - \hat {A}^{t} \cdot \hat {P} = 0.$$ 이 행렬 방정식의 해는

$$ \hat {Q}^* = ( \hat {A} ^t \cdot \hat {A})^{-1} \cdot ( \hat {A}^t \cdot \hat {P})$$ 로 표현된다. $\hat {A} ^t \cdot \hat {A}$가 (banded) real symmetric ($m\times m$) 행렬이므로 Cholesky decomposion을 사용하면 쉽게 해를 구할 수 있다. $\hat{A}$가 banded matrix 형태를 가지는 이유는 basis가 local support에서만 0이 아닌 값을 취하기 때문이다. 

open b-spline(cubic)

std::vector<CfPt> BSplineFit_LS(const std::vector<CfPt>& data,
                                const int degree,    // cubic(3); 
                                const int nc)        // num of control points;
{
    // open b-spline;
    std::vector<double> knot((nc - 1) + degree + 2);
    for (int i = 0; i <= nc + degree; i++) knot[i] = i;
    
    std::vector<double> t(data.size());       // parameter;
    double scale = (knot[nc] - knot[degree]) / (data.size()-1);
    for (int i = data.size(); i-->0;) 
        t[i] = knot[degree] + scale * i;

    // design matrix;
    std::vector<double> A(ndata * nc); 
    for (int i = data.size(); i-->0;)
        for (int j = 0; j < nc; j++)
            A[i*nc + j] = Basis(j, degree, &knot[0], t[i]); //A(i,j)=N_j(t_i)

    // scattering matrix: S = A^t * A; real-symmetric matrix;
    std::vector<double> S(nc * nc); 
    for (int i = 0; i < nc; ++i)
        for (int j = i; j < nc; ++j) {
            double s = 0;
            for (int k = data.size(); k-->0;)
                s += A[k*nc + i] * A[k*nc + j];
            S[i*nc + j] = s;
        }
    // fill lower triangle;
    for (int i = 0; i < nc; ++i) 
        for (int j = 0; j < i; j++) 
            S[i*nc + j] = S[j*nc + i];
    
    std::vector<CfPt> X(nc);
    // X = A^t * P;
    for (int i = 0; i < nc; i++) {
        double sx = 0, sy = 0;
        for (int k = data.size(); k-->0;) {
            sx += A[k*nc + i] * data[k].x;
            sy += A[k*nc + i] * data[k].y;
        };
        X[i] =CfPt(sx, sy);
    };
    // psinv(A, n) = inverse of real symmetric matrix A;
    // ccmath-2.2.1 version;
    if (0 == psinv(&S[0], nc)) {
        std::vector<CfPt> Q(nc);
        for (int i = 0; i < nc; ++i) {
            souble sx = 0, sy = 0;
            for (int k = 0; k < nc; ++k) {
            	sx += S[i*nc + k] * X[k].x;
                sy += S[i*nc + k] * X[k].y;
            }
            Q[i] = CfPt(sx, sy);
        }
        return Q;  // estimated control points;
    }
    return std::vector<CfPt> ();
};

**네이버 블로그 이전;

 
728x90

'Computational Geome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roximate Distance Between Ellipse and Point  (0) 2024.03.08
Distance from a Point to an Ellipse  (0) 2024.03.06
Closest Pair of Points  (0) 2021.04.27
DDA Algorithm  (0) 2021.04.25
B-Spline  (0) 2021.04.25
Posted by helloktk
,

점집합을 일반적인 2차 곡선으로 피팅하는 경우에 방정식은

$$ a x^2 + by^2 + cxy +d x + ey +f = 0$$

의 계수를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서 구해야 한다. 실제 문제에서는 타원, 포물선 쌍곡 선등의 타입에 따라 몇 가지 제약 조건을 넣어 피팅을 한다. 원은 타원의 특별한 경우로 일반적으로 $a = b$, $c = 0$의 제약 조건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다 엄밀하게 제약을 하게 되면 $a = b = 1$의 추가 조건을 줄 수 있다. 이 경우는 점들이 모두 일직선에 있는 경우를 ($a = b = 0$) 취급할 수 없게 된다. 이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소자승법을 사용하면 계수를 매우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이용된다.

 

문제: 주어진 데이터를 fitting 하는 이차곡선(원)

$$x^2  + y^2 + A x + B  y + C = 0$$

의 계수 $A, B, C$를 최소자승법을 사용해서 구하라. 

 

주어진 점집합이 원 위의 점이면 우변이 0이 되어야 하나, 실제 데이터를 얻는 과정에서 여러 노이즈에 노출되므로 일반적으로 0이 되지 않는다. 최소자승법은 주어진 점들이 원에서 벗어나는 정도의 제곱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계수 $A, B, C$를 결정한다.  원과 점의 편차의 제곱합
$$ L=\sum_ i   \left |x_i^2 + y_i^2 + A x_i + B y_i + C \right|^2 , $$

의 극값을 찾기 위해서 $A, B,$ 그리고 $C$에 대해 미분을 하면

$$\frac{\partial L}{\partial A} = 2 \sum_i (x_i^2 + y_i^2 + A x_i + B y_i + C) x_i = 0, $$

$$\frac{\partial L}{\partial B} = 2 \sum_i (x_i^2 + y_i^2 + A x_i + B y_i + C) y_i = 0, $$

$$\frac{\partial L}{\partial C} = 2 \sum_i (x_i^2 + y_i^2 + A x_i + B y_i + C) = 0. $$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A, B, C$를 구할 수 있다. 계산을 단순하게 만들고 수치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입력점들의 질량중심 

$$ m_x = \frac{1}{N} \sum_i x_i, \quad m_y = \frac{1}{N} \sum_i y_i$$

계에서 계산을 하자. 이를 위해 입력점의 $x$, $y$ 성분에서 각각 $m_x$, $m_y$만큼을 빼준 값을 좌표값으로 대입하면 된다: 

$$ x_i \to x_i - m_x,\quad y_i \to y_i - m_y$$

그러면 질량중심 좌표계에서는 $S_x = \sum_i x_i =0$, $S_y= \sum_i y_i =0$이 된다.

우선 세 번째 식에서 

$$ C = -\frac{S_{x^2} + S_{y^2}}{N} $$

을 얻을 수 있고, 첫번째와 두 번째 식에서는 각각

$$ S_{x^2} A +  S_{xy} B = -  (S_{x^3} + S_{xy^2})  $$

$$ S_{xy}  A  + S_{y^2} B = - (S_{y^3} + S_{x^2 y} )$$

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풀면

$$ A = \frac{- S_{y^2} ( S_{x^3} + S_{xy^2}) + S_{xy} (S_{y^3} + S_{x^2y})  }{ S_{x^2} S_{y^2} - S_{xy}^2 } \\ B= \frac{-S_{x^2}(S_{y^3} + S_{x^2 y}) +S_{xy}  (S_{x^3} + S_{xy^2}) }{S_{x^2} S_{y^2}- S_{xy}^2} $$

여기서 주어진 데이터의 각 차수에 해당하는 moment는 아래처럼 계산된다:

추정된 원의 중심 $(c_x, c_y)$는 

$$ c_x = - \frac{A}{2},   \qquad c_y = - \frac{B}{2} $$

로 주어지고, 반지름은 

$$r^2 =  c_x^2 +c_y^2 - C = c_x^2 + c_y^2 + \frac{1}{N}( S_{x^2}+S_{y^2})$$

로 주어진다.

Ref: I. Kasa, A curve fitting procedure and its error analysis. IEEE Trans. Inst. Meas., 25:8-14, 1976

/* 구현 코드: 2024.04.01, typing error 수정 & 질량중심계 계산으로 수정;*/
double circleFit_LS(std::vector<CPoint> &Q, double &cx, double &cy, double &radius) {
    if (Q.size() < 3) return -1;
    double sx2 = 0.0, sy2 = 0.0, sxy  = 0.0;
    double sx3 = 0.0, sy3 = 0.0, sx2y = 0.0, sxy2 = 0.0;
    double mx = 0, my = 0;            /* center of mass;*/
    for (int k = Q.size(); k-->0;)
        mx += Q[k].x, my += Q[k].y;
    mx /= Q.size(); my /= Q.size();
    /* compute moments; */
    for (int k = Q.size(); k-->0;) { /* offset (mx, my)*/
        double x = Q[k].x - mx, xx = x * x;
        double y = Q[k].y - my, yy = y * y;
        sx2  += xx;      sy2  += yy;      sxy  += x * y;
        sx3  += x * xx;  sy3  += y * yy;
        sx2y += xx * y;  sxy2 += yy * x;
    }
    double det = sx2 * sy2 - sxy * sxy;
    if (fabs(det) < 1.e-10) return -1;    /*collinear한 경우임;*/
    /* center in cm frame; */
    double a = sx3 + sxy2;
    double b = sy3 + sx2y;
    cx = (sy2 * a - sxy * b) / det / 2;
    cy = (sx2 * b - sxy * a) / det / 2;
    /* radius squared */
    double radsq = cx * cx + cy * cy + (sx2 + sy2) / Q.size();
    radius = sqrt(radsq);
    cx += mx; cy += my; /* recover offset; */
    return fitError(Q, cx, cy, radius);
}

https://kipl.tistory.com/357

 

Circle Fitting: Pratt

주어진 점집합을 원으로 피팅하기 위해 이차식$$A(x^2 + y^2) + Bx + Cy +D =0$$을 이용하자. 원의 경우는 $A=0$인 경우는 직선을 나타내고, $A\ne0$인 경우가 원을 표현한다. 물론 $A=1$로 설정을 할 수 있으

kipl.tistory.com

https://kipl.tistory.com/32

 

RANSAC: Circle Fit

RANSAC 알고리즘을 써서 주어진 2차원 점집합에서 원을 추정한다. 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한 3점이 필요하고, 또 일직선에 있지 않아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원은 세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

kipl.tistory.com

 

728x90

'Image Recognition > Fundament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A Line Fitting  (0) 2020.11.12
Histogram Equalization  (0) 2020.11.12
Integer Sqrt  (0) 2020.11.11
Parabolic Interpolation in Peak Finding  (3) 2020.11.10
Histogram Matching  (0) 2012.11.03
Posted by hellokt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