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점성이 없는 유체를 내부에 채운 반지름  R인 공이 경사면 위에 올려져 있다. 유체와 공의 질량은 같다. 공이 운동을 시작할 때 가속도는? 단, 물체는 미끄러짐이 없이 경사면을 구르면서 내려간다.

 

 

  1. gsinα
  2. 34gsinα
  3. 12gsinα
  4. 38gsinα
  5. 35gsinα

풀이는 https://kipl.tistory.com/483 하단

728x90
,

  1. AB
  2. BC
  3. CA
  4. BD

Hint: 구체적인 계산없이도 알 수 있다.

 
728x90

'Physics >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abola of Safety  (0) 2022.09.16
곡선을 따라 운동하는 물체의 Animation  (0) 2022.09.12
주기는 어떻게 변할까?  (0) 2022.03.22
지지대를 치우는 순간 가속도는?  (0) 2022.03.19
운동을 시작할 때 가속도는?  (0) 2022.03.19
,

매끄러운 벽에 그림처럼 막대를 60 기울인 상태로 잡고 있다 가만히 놓는다. 바닥의 마찰도 없다. 손을 놓은 직후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막대의 (반시계방향) 회전 각가속도는?

1. 3g4L

2. 3g4L 보다 크다.

3. 3g4L 보다 작다.

4. 막대의 회전관성을 결정하는 질량/길이에 따라 다르다.

 

힌트: 질량중심+질량중심에 대한 회전운동 방정식을 사용해도 되고, 미끄러지는 동안 막대가 순간적인 회전을 한다고 보고 해결할 수도 있다(물론 회전축의 위치는 연속적으로 변한다).

 

더보기

막대가 운동을 시작할 때 (L/2,3L/2)인 지점을 축으로 순간적으로 회전을 한다. 이 회전축에 대한 회전관성은 Ip=13mL2이고, 벽과 바닥이 작용하는 수직항력은 토크를 만들지 못하고 중력만 기여한다. 따라서 회전운동방정식은

mgL2cosθ=13mL2α

막대는 언제 벽에서 떨어질까?(이전에 비슷한 질문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운동방정식을 풀어서 계산할 수 있는가?

 
 
 
728x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