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이 뜨는 이유는 부력 때문이다. 부력의 크기는 얼음의 무게와 같고, 또 얼음의 잠긴 부분이 밀어낸 물의 무게와 같다. 불순물이 없는 얼음의 경우 다 녹으면 물이 되고 이 물의 무게(=얼음의 무게)는 잠긴 부분이 밀어낸 물의 무게와 같으므로 수면은 변화가 없다. (얼음이 녹아 생긴 물의 양은 원래 잠긴 부분을 채울 만큼이다)
모래가 섞인 얼음에서 얼음 부피를 Vice, 모래 전체의 부피를 Vsand라면
부력모래얼음부피잠김부력=모래 얼음 부피→ρwgV잠김=ρicegVice+ρsandgVsand잠김∴
여기서, 는 순수한 얼음이 밀어낸 물의 부피로, 앞에서 설명한 대로 수면의 높이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는 모래(전체)를 띄우기 위해서 밀려난 물 부피이다. 얼음이 녹아 모래가 가라앉으면 만큼의 물이 밀려나므로 수면은 내려가게 된다:
잠김
이는 배에 실린 돌을 물에 던지면 수면이 내려가는 이치와 같다.
돌을 띄우는 부력을 만들기 위해 밀어낸 물의 양은 돌이 가라앉았을 때 밀어낸 물의 양보다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