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판 위에서 회전하는 동전의 가장자리 한 지점을 순간적으로 붙잡는다. 이후 동전의 중심이 움직이게 되는데 그 속도가 붙잡히기 직전 그 지점 속도(접선속도)의 1/5임을 보일 수 있다.

풀이:

더보기

붙잡는 과정에서 충격량 $\vec{J} = J \hat{i}$이 동전에 전달된다(전제: 붙잡는 순간 동전면이 $y-z$평면에 있고, 위에서 내려다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vec{\omega} = \omega \hat{k}$). 붙잡힌 직후 운동량 변화는

$$ \Delta \vec{P} =J  \hat {i}$$  충격량은 각운동량도 변화시키므로 (붙잡힌 지점: $\vec{r}_P = R\sin \theta \hat{j} + R\cos \theta \hat{k}$)

$$ \Delta \vec{L} = \vec{r}_P \times \Delta \vec{P} =  -JR \sin \theta \hat{k}+ JR \cos \theta \hat{j}$$

따라서 붙잡힌 직후 동전의 각운동량은

$$ \vec{L}_f = I_z \omega \hat{k}  -JR \sin \theta \hat{k}+ JR \cos \theta \hat{j}$$

붙잡히 지점은 정지하므로

$$ \vec{v}_f = \vec{v}_\text{cm} + \vec{\omega}_f \times \vec{r}_P=0$$

$$ \frac{J}{M} \hat{i} - \omega R\sin \theta  \hat{i} +\frac{1}{I_z} (JR \sin\theta) R\sin \theta \hat{i} + \frac{1}{I_y} (J R \cos \theta) R \cos \theta \hat{i} = 0$$

그런데 $I_y = I_z = \frac{1}{4} MR^2$이므로

$$ J =  \frac{M}{5} \omega R \sin \theta$$ 회전축에서 먼 지점을 붙잡을수록 더 큰 충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붙잡히기 직전 그 지점의 접선 속력이 

$$ v_i = \omega R \sin \theta ~~\to ~~ J = \frac{M}{5} v_i $$

이므로 붙잡힌 직후 질량중심이 움직이는 속력은

$$ v_{f, \text{cm}} = \frac{J}{M} = \frac{v_i}{5}$$

728x90
,

바닥에 놓인 무거운 줄을 일정한 속도 $u$로 그림처럼 당긴다. 얼마의 힘이 필요할까? 줄은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부드럽게 접힌다고 생각할 수 있고, 줄의 선밀도는 $\lambda$다.

1. $2\lambda u^2 $

2. $\lambda u^2$

3. $\frac{1}{2}\lambda u^2$

 

질문2: 줄의 모든 부분이 움직일 때까지 줄에 해준 일은 얼마인가?

 
728x90
,

추의 속력은?

Physics/역학 2020. 11. 20. 09:58

높은 천정에 고정된 5 미터 줄의 반대편 끝에 추를 매달고 그림과 같은 위치에서 낙하시킨다. 줄이 팽팽해지는 직후 추의 속력은(m/s)?

1. $\sqrt {8g}$

2. $\sqrt {10g}$

3. $\frac {3}{5}\sqrt {8g}$

4. $\frac {3}{5}\sqrt {10g}$

더보기

수직 아래로 4m를 내려오는 동안 추는 자유낙하를 한다. 이때 속도는 아래 방향이고 크기는 $v=\sqrt {2g\times 4}=\sqrt {8g}$다. 줄이 팽팽해지면 줄 방향으로는 순간적으로 충격력이 주어지고, 이 때문에 줄 방향 성분은 0이 된다. 줄에 수직인 방향 성분은 충격력이 없으므로 그대로 남아서 $v_\bot=\frac {3}{5}\sqrt {8g}$

Q2: 줄이 팽팽해진 이후 추는 처음 높이까지 다시 올라갈 수 있을까?

728x90

'Physics >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높이 올라가는 물체는?  (0) 2020.11.24
컨베이어 벨트의 모터가 한 일은?  (1) 2020.11.22
열차의 속도가 더 빠른 경우는?  (1) 2020.11.18
동전이 회전한 각은?  (1) 2020.11.15
어떤 종류의 물체일까?  (0) 202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