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울 위에 올려진 물이 담긴 그릇이 있다. 이 그릇에 손가락을 (바닥에 닿지 않게) 넣으면 저울의 눈금이 어떻게 변할까?

1. 변하지 않는다: 손가락은 사람이 지탱하므로 저울에 영향이 없다.

2. 증가한다: 손가락을 넣으면 수면이 높아져서 바닥에 작용하는 압력이 증가하므로

3. 감소한다: 물이 아래로 누르는 힘의 일부를 손가락이 옆으로 분산시키므로(물에 손가락을 넣으면 옆에서 작용하는 압력을 느낀다)

 

 

728x90

'Physics > 유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이 흐르는 방향은?  (0) 2016.02.11
잠긴 부분의 부피는?  (0) 2016.02.05
물기둥의 높이는?  (1) 2016.01.27
유체 기둥이 잘못된 것은?  (1) 2016.01.27
무엇이 잘못 되었을까?  (0) 2016.01.26
,

스티로폼줄을 이용해서 용기의 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였다. 이 경우 스티로폼에 작용하는 부력은 스티로폼의 무게와 줄의 장력에 의해서 균형을 이룬다. 연결된 줄을 끊어서 스티로폼이 물에 떠 있는 상황이 되면 저울의 눈금은 어떻게 변할까?

1. 증가한다: 줄이 위로 당기는 힘이 사라져 그릇 무게가 그대로 저울에 작용하므로 

2. 감소한다: 스티로폼이 뜨면 물의 높이가 내려가서 바닥을 누르는 압력이 줄어들므로(압력은 높이에 비례)

3. 변함없다: 어차피 그릇+물+스티로폼의 무게는 변함없으므로

4. 정보가 부족하다.

728x90
,

모래가 섞인 얼음을 물이 담긴 컵에 넣었더니 물에 뜬다. 얼음이 다 녹으면 수면의 높이는 어떻게 될까?

1. 올라간다.

2. 변함없다.

3. 내려간다.

4. 모래의 양에 따라 다르다.

 

설명보기

얼음이 뜨는 이유는 부력 때문이다. 부력의 크기는 얼음의 무게와 같고, 또 얼음의 잠긴 부분이 밀어낸 물의 무게와 같다. 불순물이 없는 얼음의 경우 다 녹으면 물이 되고 이 물의 무게(=얼음의 무게)는 잠긴 부분이 밀어낸 물의 무게와 같으므로 수면은 변화가 없다. (얼음이 녹아 생긴 물의 양은 원래 잠긴 부분을 채울 만큼이다)

 

모래가 섞인 얼음에서 얼음 부피를 ViceVice, 모래 전체의 부피를 VsandVsand라면

부력=모래 얼음 부피ρwgV잠김=ρicegVice+ρsandgVsandV잠김=ρiceρwVice+ρsandρwVsand

여기서, ρiceρwVice는 순수한 얼음이 밀어낸 물의 부피로, 앞에서 설명한 대로 수면의 높이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ρsandρwVsand(>Vsand)는 모래(전체)를 띄우기 위해서 밀려난 물 부피이다. 얼음이 녹아 모래가 가라앉으면 Vsand만큼의 물이 밀려나므로 수면은 내려가게 된다:

V잠김>ρiceρwVice+Vsand

 

이는 배에 실린 돌을 물에 던지면 수면이 내려가는 이치와 같다.

 

돌을 띄우는 부력을 만들기 위해 밀어낸 물의 양은 돌이 가라앉았을 때 밀어낸 물의 양보다 많다.

 

 

Q1. 기포가 섞인 얼음이 녹으면 수면은 어떻게 될까?(기포의 무게는 무시할 수 있다).

Q2. 배에 실린 가벼운 스티로폼을 물에 던지면 수면은 어떻게 될까?

728x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