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통(바닥접촉 면적 AA)의 아래에 구멍(단면적: aA)이 생기면 물이 빠져나가는데 이때 물통은 물과 반대로 밀리는 힘을 받는다. 물통이 뒤로 밀리지 않으려면 바닥과의 마찰계수는 얼마나 되어야 하는가?

힌트: 토리첼리 정리에 의해서 바닥 구멍에서 나오는 물의 속도는 수면과의 높이가 h일 때, v=2gh이다. 물이 나오는 과정에서 물의 운동량의 변화가 ΔP=Δmv이므로 물통이 받는 반작용은 F=ΔP/Δt=vΔm/Δt이고, 시간당 나오는 물은 Δm/Δt=aρv이므로 

F=aρv2

이 힘이 정지마찰력 보다 작으면 물통은 움직이지 않는데, 나오는 물의 속력이 제일 빠른 처음 물이 나올 때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μ(ρAh)g       μ2aA

728x90
,

벽은 매끄럽고 바닥은 거친 코너에 그림과 같은 막대, 정삼격형, 반원을 비스듬히 세웠다. 바닥과의 마찰계수가 가장 큰 것은?

        1. 막대
        2. 정삼각형
        3. 반원
        4. 질량에 따라 다르다.
        5.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다르다.

 

728x90

'Physics >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대가 바닥에 닿는데 걸리는 시간은?  (0) 2025.02.23
용수철 진자의 주기비는?  (0) 2025.02.23
무한궤도의 운동에너지는?  (0) 2025.02.21
두 바퀴의 최종 회전각속도는?  (2) 2025.02.04
사람의 속도는?  (0) 2025.02.03
,

한쪽 끝이 공중에 떠있는 막대가 부분적으로 물에 잠겨 있다. 물속에 들어가 있는 부분의 얼마인가? 막대의 길이는 L, 비중은 s<1이다.

힌트:

더보기

풀이: 막대의 토크에 대한 평형을 고려하자. 회전기준을 pivot으로 잡으면 중력과 부력이 토크에 기여한다. 중력이 만드는 토크는 τW=ρgVL2

물에 잠긴 비율이 x이면 물에 잠긴 부분의 중심은 pivot에서 (1x+x2)L=2x2L이므로 부력이 만드는 토크는 τB=ρwg(xV)2x2L=12ρwgVL(2xx2) 두 토크의 크기가 같다는 조건에서 (s=ρ/ρw

x=11s

728x90
,